청년보좌역이란?

  • 등록 2023.03.26 11:56:59
크게보기

 

 

 

[sbn뉴스-서해신문·서해방송] 지난해 9월, 정부는 국정 전반에 청년세대의 인식을 반영하고 청년이 직접 정책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청년보좌역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학위·경력 요건을 배제한 공개채용절차를 통해 총 9개 중앙행정기관*의 보좌역이 발탁됐는데요, 청년보좌역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획재정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당사자의 입장에서 각 기관장에게 청년세대 인식 및 요구 직접 전달

 

그간 청년세대는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참여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보좌역 제도를 도입했는데 말하자면 보좌역들이 청년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통로가 되는 셈이죠.

 

또, 청년보좌역은 정부의 주요 정책 수립·시행 시 청년세대의 인식과 요구를 기관장에게 직접 전달하고 소통한다는 점에서 청년정책 실무를 총괄하고 관련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청년정책 전담부서’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당사자의 입장으로 청년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청년들의 의견 수렴 및 참여를 촉진하고, 2030 자문단을 운영하는 것 등이 청년보좌역의 주요 업무죠.

 

MZ세대 위주로 구성된 2030 자문단, 정부와 청년 간극 최소화

 

‘2030자문단’이 뭐냐고요?

 

2030자문단은 청년보좌역을 포함해 만 19~39세 청년 20명 이상으로 구성된 조직으로 정책 모니터링과 제언, 청년 여론 수렴 및 전달 그리고 정책 참고사항 발굴 및 제안 등을 맡게 됩니다.

정책에 대한 의견을 다각도로 청취해 정부와 청년 간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죠.

 

24개 장관급 기관 전체로 점진적 확대 계획

 

청년보좌역은 현재 정부 내에서 일자리·교육·주거 등 청년세대와 밀접한 정책을 다루고, 청년정책 전담부서가 설치된 9개 중앙행정기관에서 우선 시범운영 중인데, 시범운영 성과 등을 토대로 올해 안에 24개 장관급 기관 전체로 점차 확대할 계획입니다.

sbn뉴스 news@sbnnews.co.kr
copyright NEWSEYE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주)뉴스아이즈 Tel : 041)952-3535 | Fax : 041)952-3503 | 사업자 등록번호 : 550-81-00144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5번길 5, 2층 | 발행인 : 신수용 회장. 권교용 사장 | 편집인 : 권주영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 충남, 아00324| 등록일 2018년 03월 12일 copyright NEWSEY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