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주택 공동주택 신축 반대 투쟁위원회(위원장 김은표 / 이하 그린주택 투쟁위)가 지난달 29일 서천군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공동주택 신축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다.
그린주택 투쟁위는 집회를 통해 “별다른 안전검사도 없이 ‘건축법상 하자가 없으니 문제될 것이 없다’라는 이유로 건축허가를 승인한 것은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공동주택 신축은 전면 취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은표 위원장은 “그린주택은 착공된 지 20년이 지난 노후주택으로 연약한 지반 탓에 건물이 기울어져 있는 것은 물론 곳곳에 균열이 가 있는 상태”라며 “파일시공 등으로 인해 충격발생 시 건물붕괴나 지반침하 등 심각한 안전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그린주택 곳곳에는 균열이 발생한 상태이며 그린주택 B 동의 경우 한쪽 지반이 내려앉아 건물이 기울어 있는 상태다.
그린주택 투쟁위는 이외에도 공사 초기에 발생한 안전문제와 함께 본격적인 공사 착공 후 발생할 수 있는 피해보상 문제도 거론했다.
김은표 위원장은 “허가받은 공사 진입로를 두고 인도로 중장비가 진입하다 화단 등을 짓밟아 파손된 것은 물론 인도에 공사자재를 방치해 아이들이 넘어지는 사고도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주말에는 파일시공을 위한 중장비가 주택 쪽으로 기울어 있는 것을 주민들이 발견해 긴급하게 시공사에 연락해 바로잡았다”며 “주민들이 조금만 늦게 발견했었다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고 덧붙였다.
또 피해보상 문제에 대해서 그린주택 투쟁위는 “현재 건축주 및 시공자로부터 피해발생 시 보상에 대한 대책을 전달받은 사항이 없다”며 “만약 공사 진행 중 피해가 발생했으나 건축주 등이 부도라도 날 경우 주민들이 그 피해를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29일 집회가 끝난 뒤 오후에 시공 관계자, 군 담당자, 그린주택 투쟁위가 참여한 가운데 상호간 협의를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그린주택 투쟁위에 따르면 안전진단 및 피해발생을 대비한 담보 등을 요구했으나 시공 관계자가 바로 결정할 사항은 아니라며 차후 면담에서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린주택 투쟁위와 건축주간 2차 협의는 오는 6월 1일 목요일 경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