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 (금)

  • 맑음서산 10.1℃
  • 맑음대전 12.0℃
  • 맑음홍성(예) 11.3℃
  • 맑음천안 9.5℃
  • 맑음보령 11.3℃
  • 맑음부여 9.5℃
  • 맑음금산 11.0℃
기상청 제공

‘갯벌 초토화’ 갯끈풀, 송림갯벌서 발견

URL복사

지난 13일, 송림갯벌 3개 지점 49㎡에 걸쳐 서식확인
갯벌 육상화 등 생태계 파괴 심각, 25일 긴급방제 실시


송림리 갯벌 일원에서 갯벌 육지화로 자생 생물을 초토화시키는 ‘슈퍼잡초’ 갯끈풀이 발견돼 긴급방제에 나섰다.

갯끈풀은 환경부가 생태계 교란종으로, 해양수산부가 유해 해양생물로 지정한 외래식물이다.

서천지역에서는 지난 13일 서천 조류생태전시관의 신고로 최초 확인됐으며, 송림리 갯벌 3개 지점 49㎡에 걸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서천군과 충남도, 대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환경관리공단 등 9개 기관 80여명은 지난 25일 긴급 방제 작업을 진행했다.

강화도와 진도에 이서 국내에서 세 번째로 발견된 갯끈풀은 갈대와 모양이 비슷한 벼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영국갯끈풀(Spartina) 또는 갯줄풀로도 불리고 있다.

갯끈풀은 퇴적물의 이동을 막아 갯벌을 육상화 시키며 갯벌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실제 강화도 갯벌에서는 ‘지채’와 ‘칠면초’ 군락을, 진도 갯벌에서는 농게 군집을 몰아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에서는 피해가 더욱 심각한데, 미국 윌라파 베이(Willapa Bay)의 경우 굴 산업이 붕괴되며 연간 185억 원의 손실과 6억 원의 방제 비용이 소모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연안 침식 방지 목적으로 지난 1985년 도입했으나, 갯끈풀 서식지가 급격히 확산되며 퇴치를 위해서만 186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