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노인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낙상 그 원인과 예방
현대사회는 첨단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인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노인 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0년 15.7%, 2030년 24.3%, 2040년 32.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문제는 연장된 수명만큼 노인들은 다양한 만성질환과 장애를 동반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인성 질환들은 노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부양가족들에게도 심각한 경제적, 심리적 고통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화 현상에 따른 예방과 대책에 대한 사회적 제도와 인식은 부족하기만해 현대산업사회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 중 낙상문제는 최근 들어 중요한 보건의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65세 이상 노인들에게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도 있는데, 통계상 낙상으로 인한 대퇴골골절로 입원한 노인의 50%가 1년 이내에 입·퇴원과 낙상을 반복하다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낙상은 노인 사망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들은 낙상으로부터 회복되었다 할지라도 일상생활 수행
- 임용택 남서울대학교 스포츠건강관리학과 교수
- 2017-03-30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