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마서면 월포리 염산소분창고 건립이 백지화 됐다.
특히 월포리 주민들이 염산소분창고 건립 반대투쟁에 나선지 50일 만에 들려온 반가운 소식으로 해당지역 주민들은 잔치 분위기다.
월포리 염산소분창고 건립반대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에 따르면 화학물질안전원은 지난 18일 마서면 월포리에 건립되는 염산소분창고에 대해 장외영향평가 부적합의 결정을 냈다.
또한 해당 사업주는 화학물질안전원의 결정을 수용하고 논란의 중심에 선 염산소분창고 건립에 대해 사업 추진을 철회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해당지역 주민들과의 갈등도 해소됐다.
이에 앞서 대책위는 서천참여시민모임 이강선 대표와 함께 지난 6월 1일 서천군청 주차장에 처음 집회신고를 내고 마서면 월포리 염산소분창고 건립 반대 투쟁에 들어갔다.
이어 관련 기관에 진정 및 민원 제기와 함께 지속적인 집회를 통해 반대 입장을 알렸으며 출근시간대 1인 시위를 통해 주민의 행복추구권을 요구하는 한편, 집회 후 거리에 나가 미숙한 서천군행정 규탄대회를 가졌다.
또한 이들은 다중이 이용하는 서천국민체육센터 및 서천종합운동장이 100여 미터 내에 있고 인근 20여 가구가 거주하는 등 지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위해성이 높다는 사실을 지역 주민들에게도 알렸다.
지난주에는 쏟아지는 폭우 속에서 염산소분시설에 관한 승인 적부판단기관인 화학물질안전원에 방문, ‘월포리 주민 다 죽이는 염산공장 결사반대’를 외치며 집회에 나서기도 했다.
이와 관련 이강선 대표는 서해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장외영향평가 부적합의 결정이 나온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며 “군의 행정이 주민들과의 밀접한 영향이 미칠 경우 이에 대한 상황을 주민들에게 먼저 알리고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올바른 행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사태는 주민들의 동의와 충분한 의견수렴 없이 추진한 행정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며 “서천군은 이번 염산소분시설 건립 백지화를 계기로 진정성을 갖고 주민과의 충분한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하게 깨닫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염산소분창고에 대한 화학물질안전원의 장외영향평가 부적합 결정에 따른 정식적인 공문을 접하지는 못해 사업주에게 정식으로 요청한 상태”라며 “해당 관련법상 건축 인허가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군의 의견을 해당 사업주에게 통보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