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서산 18.0℃
  • 흐림대전 19.4℃
  • 홍성(예) 18.2℃
  • 흐림천안 17.6℃
  • 흐림보령 19.7℃
  • 흐림부여 19.1℃
  • 구름많음금산 19.7℃
기상청 제공

생태원, 항공영상으로 나무 한 그루까지 식별…산림지도 기술 개발 등 22일 충남 서천군 기관소식

URL복사

[sbn뉴스-서해신문·서해방송] 생태원, 항공영상으로 나무 한 그루까지 식별…산림지도 기술 개발  등 22일 충남 서천군 기관소식을 전한다.

 

 

◇생태원, 항공영상으로 나무 한 그루까지 식별…산림지도 기술 개발

 

국립생태원(원장 이창석)은 항공 라이다(LiDAR)와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ing, HSI)을 융합해 산림의 개별 수종을 정밀하게 구분하고 식생도·임상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Forests 2025년 7월호에 「Developing a Novel Method for Vegetation Mapping in Temperate Forests Using Airborne LiDAR and Hyperspectral Imaging」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동일한 원리를 적용한 기술이 특허 제10-2728590호 ‘라이다와 초분광 영상 기반 산림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등록되었다

 

이 기술은 기존 위성영상이나 다중분광영상으로는 구분이 어려웠던 온대 혼합림의 다양한 수종을 98% 수준의 정확도로 분류한다.

 

LiDAR 기반의 3차원 수관 구조 분석과 초분광 영상의 분광 특성을 융합해 개체 단위의 식생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한다.

 

특히, 국립생태원은 이 기술을 통해 수목의 흉고직경(DBH), 수령, 수관밀도 등 세부 생태정보를 자동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정밀 식생도와 임상도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현장 조사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 대비 시간·비용을 7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향후 국가 산림 생태 모니터링 및 환경영향평가 자동화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이창석 생태원장은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처럼 수종이 복잡하게 혼재된 온대림에서도 항공영상만으로 고정밀 식생지도를 작성할 수 있음을 입증한 사례”라고 밝혔다.

 

이어 “국가 산림정보의 디지털 전환 및 생태복원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소년수련관, 지역 국가 유산 지킴이 갯벌캠프 운영

 

서천군 청소년수련관(관장 신현일)은 지난 24~25일에 서천문화원과 연계하여 방과후아카데미[다락방] 청소년 40명을 대상으로 서천 국가유산 지킴이 갯벌캠프를 운영했다.

 

이번 캠프는 청소년들이 갯벌 생태의 가치와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참가 청소년들은 갯벌 생태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직접 갯벌 현장에 나가 생태를 관찰하며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 보전의 필요성을 체험했다.

 

또한, 군산 금강미래체험관을 방문해 금강의 생태 환경을 살펴보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멸종위기종 탐구, 투명공을 활용한 지구온난화 실험, 해양쓰레기 문제 체험 등을 통해 기후위기의 원인과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직접 느끼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 청소년은 “환경 문제가 멀게만 느껴졌지만, 직접 체험해보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라며 “앞으로는 쓰레기를 줄이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서천군 청소년문화센터 방과후아카데미[다락방]은 ‘다양한 즐거움이 있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과학습, 전문체험, 생활지원 등 방과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천소방서, ‘2025년 긴급구조종합훈련’ 실시

 

서천소방서(서장 김희규)는 지난 21일 서천국민체육센터 일원에서 ‘2025년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상황을 가정해 화재, 붕괴, 다수 사상자 발생 등 복합재난 대응 절차를 숙달하고, 유관기관 간 공조 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추진됐다.

 

훈련에는 소방, 경찰, 군, 지자체 등 15개 기관·단체에서 약 200명과 36대의 장비가 참여해 실전과 같은 대응훈련을 펼쳤다.

 

서천소방서는 이번 훈련을 통해 각 기관의 역할 분담과 협업체계를 점검하고, 복합재난 발생 시 통합지휘체계와 현장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김희규 소방서장은 “이번 훈련은 다양한 기관이 참여해 실제 재난 현장을 방불케 하는 상황 속에서 대응 절차를 검증한 의미 있는 훈련이었다”라며 “확인된 성과를 바탕으로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대응 역량을 지속으로 높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포토



배너